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한국의안보정책
- 경제학입문
- 국제법
- 210208
- 210924
- 책추천
- 강의노트
- 국제정치경제
- 210914
- 맨큐의경제학
- 노트정리
- 210904
- 국제통화금융의정치경제
- 국제정치경제주요이슈
- Cassese
- 20210611
- 경제학
- 국제무역의정치경제
- 경제학의10대기본원리
- 기사정리
- 210215
- 자유주의
- 210830
- 패권안정론
- 한국대외정책론
- 경제통상정책
- 210901
- 210326
- 매일경제
- 강의정리
- Today
- Total
몽슬몽슬
[국제정치경제] 신중상주의 본문
신중상주의 Neo- Mercantilism (1970년대 이후)
- 두 차례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국제경제 침체기 옴
- 금융분야에서 브레튼우즈 체제를 유지시키고 관리하던 체계가 붕괴됨
- 브레튼우즈체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미국 달러 가치를 항상 보장했던 것, BUT 미국 경제가 어려워지게 되면서 달러를 금으로 보장할 수 없게 되면서 결국 브레튼우즈 체제가 붕괴
- 베트남 전쟁에 미국이 패배를 하게 되면서 초강대국으로서의 미국의 리더십이 불안정해지고 정치 및 경제적 신뢰가 약화
- 1970년대 이전에는 안정적인 경제관계 유지, 이후에는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웠던 시기
- 두 차례 석유파동 이후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우선적으로 추구하기 위해 노력
▷ 2차대전 이후 사회주의 봉쇄 위해 서유럽과 일본 경제 재건 필요성 인식
- 상호협력에 따른 혜택이 비용보다 크다고 인식
- 미국시장 개방, 서방 체제 유지의 정치군사적 이익 > 경제적 비용
▷BUT, 70년대 이후 긴장완화 시대, 상호협력 비용이 혜택보다 크다고 인식
- 70년대 BWS 붕괴, 오일쇼크, 세계경제 불황, 국제무역 위축
- 서유럽과 일본의 부상, 미국 주도 질서 변화, 보호주의 강화
- 미국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미국이 막대한 자본을 우방국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했었는데, 그 배경에서 빠르게 성장한 독일과 일본은 계속해서 미국의 역할에 의존하며 아무런 비용을 지불하지 않으면서 미국의 자본에 free-riding 한다고 생각해 불만이 쌓임
- 자본주의권 vs 사회주의권 나눠져 있었기 때문에 자본주의권의 성장을 위해 우방국가에게 자금 지원하며 키워 나감
- BUT, 1970년대 이후엔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우방국가들에 대한 경제적인 비용을 같이 분담하자고 함
- 보호주의적인 무역이 등장하며 다시 한번 중상주의 경향이 확산되며 "신중상주의" 확산
- 상호협력했을 때 얻는 이익이 지불하는 비용보다 이익이 크다고 생각해서 기꺼이 지불을 했지만 이제는 손해라고 생각
- SO, 같은 자본주의권에 있는 나라들에게 압력을 가하며 미국에 유리한 쪽으로 경제활동을 하려고 함
▶︎ 신중상주의 경향
- 자국의 이익만을 우선 추구하는 대외경제관계 확대
- 국제관계에서 경제적 영향력이 정치권력으로 전환 가능
- 상대국의 희생을 기초로 자국의 경제이익 극대화 추구
- 미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들이 서로 상대국가에게 비용을 지불할 것을 요구
- 보호주의 경제정책 (관세 및 비관세) + 공격적 무역정책
- 보호주의적인 무역정책들이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상대국에게는 공격적인 무역이 이뤄짐
* 관세 tariff, duty: 자기나라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 활용하는 정책이 관세 정책
- 수입을 완전 억제시키는 선택
* 비관세 장벽: 관세 이외의 무역장벽
- 눈에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수입을 억제하는 방법
- 비관세 조치도 보복 조치를 취할 수 있음
- 관세는 관세조치에 따른 효과와 결과를 분명히 계산하고 분석할 수 있음
- BUT, 비관세조치는 경제적인 효과를 가늠해도 정확히 계산하기 어려움
- SO, 비관세장벽 관세화를 요구하는 경우도 많음
- 국제사회에서 합의하면 다른 영역에서 보복조치도 인정
▶︎ 신중상주의 국가정책 유형과 특징:
▷ 국가주의 (statism)와 전략산업정책: 시장 합리성 vs 계획 합리성 (일본, NICs 등)
- 일본과 아시아의 4마리 용 (한국, 싱가폴, 대만, 홍콩)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이유는 정부 정책의 적극적인 정책 때문이라고 주장
- 모든 것을 시장에 맡기는 게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다고 주장
- 국가발전과정속에 국가의 역할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국가주의
▷ 보호무역정책과 전략 무역정책: 유치산업 보호론, 공정무역론, 상호주의 등
- 국가들마다 전략산업정책들이 채택되어 추진됨
- 유치산업 보호 (Infant Industry): 막 형성되기 시작하는 산업분야지만 우리나라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이 산업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발전시키고 육성시키는 산업
- 포항- 철강산업단지; 부산- 항만; 구미- IT 산업단지
- 중화 산업, 중공업, 철강 산업 등이 전략적으로 발전하게 됨
- 시장의 기능에 따라 경쟁력 있는 산업이 발전하는 것이 아닌, 오히려 국가의 적극적 정책 추진을 통해 발전할 것
- 공정무역론 Fare-trade: 공정하게 무역하자. 보호무역을 국제적으로 정당화시키는 논리로 사용됨.
- ex) 정부가 후원해주고 보조금 받고 반칙해서 더 유리한 상황 속에서 상품을 만들어서 수출했네? 우리는 너희 상품을 수입하지 않겠어!
- 상호주의: 시장을 개발하려고 했으면 상대방도 비슷한 수준의 노력을 해야 함. 서로 이익이 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함.
- ex) 한미 FTA 오랫동안 개발했는데 한국은 관세 조치를 취하며 시장을 개방하지 않았다. 너희도 개방해라!
▷ 지역주의 (regionalism): 지역 단위 경제블럭화 (무역분쟁, 통화 전쟁 등)
- 블록화 되는 것
- 서로 함께 이익을 부여할 수 있는 국가들끼리만 모여서 자기들끼리만 이익을 나누는 경향
- ex) EU 만들기 위해 유럽 국가들이 뭉침
- 1970년대 정치경제적으로 불안정한 배경 속에서 자국의 산업과 경제를 우선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무역주의를 다양하게 활용하기 시작했고 국가가 국가경제발전에 관여하고 개입하는 정도가 계속 강화됨
- 배타적으로 자기들끼리만 계속 경쟁하려고 하며 상호협력 관계가 아닌 상호 경쟁관계 나타남
▶︎ 패권국가와 신중상주의 정책
- 패권국의 존재가 IPE질서의 안정에 기여한다고 인식 (패권 안정 이론)
- HS (Hegemony State)의 공공재 제공 역할 (자유무역) vs 자국 중심적 경제민족주의 (중상주의)
(사례) 중상주의 국제정치 경제질서 변화 발전 경향
▷ 과거 선진국들의 경제발전과정에서의 국가정책의 중요성
- (참고) 장하준 교수, <사다리 걷어차기> (부키, 2004)
▷ 후발 산업 발전국들의 국가 주도형 경제발전계획 추진
- 찰머스 존슨 (Chalmers Johnson), 일본 통상산업성 역할
▷ 주요국들의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통화 전쟁 사례
- 중국 위안화 평가절하 이후 경쟁적 평가절하 우려
▷ 트럼프 행정부 미국발 무역전쟁의 현황과 국제정치경제적 영향
▶︎ 국제무역에 있어서 보호주의 무역정책, 공격적 무역정책
- 동전의 양면과 같음
- 보호주의: 수입을 최대한 억제하겠다. 관세 비관세 보호무역.
- 공격 무역: 상대방 시장을 개방하려고 하는 것. 시장을 개방하지 않으면 우리 시장도 폐쇄.
- 공격 무역을 할 때 보호무역주의를 사용할 수 있음
'STUDY > INTERNATIONAL POLI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대외정책론] 한국 대외정책의 역사적 이해 II (3) | 2021.04.07 |
---|---|
[국제정치경제] 자유주의 I (2) | 2021.04.05 |
[한국대외정책론] 한국 대외정책의 역사적 이해 I (0) | 2021.03.30 |
[국제정치경제] 중상주의 (0) | 2021.03.24 |
[한국대외정책론] 대외정책 결정요인의 이해 (1) | 2021.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