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책추천
- 경제통상정책
- 20210611
- 국제법
- 210830
- 매일경제
- Cassese
- 210208
- 국제무역의정치경제
- 국제통화금융의정치경제
- 맨큐의경제학
- 강의정리
- 패권안정론
- 국제정치경제주요이슈
- 210904
- 한국의안보정책
- 기사정리
- 210215
- 자유주의
- 노트정리
- 경제학의10대기본원리
- 강의노트
- 경제학입문
- 210326
- 국제정치경제
- 경제학
- 210924
- 한국대외정책론
- 210901
- 210914
- Today
- Total
몽슬몽슬
[한국대외정책론] 대외정책 결정요인의 이해 본문
대외정책 결정요인의 이해
▶ 대외정책 결정요인 이해 필요성
- 정책결정의 규칙성 발견, 대외관계 증진, 정책적 조절 가능 등
- 대외정책은 관계적 성격이 있기 때문에 아무리 정책 변화 없이 일관되게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고 싶어도 국제적 환경이 바뀌거나 상대방 정책이 바뀌면 그에 맞춰 우리나라 정책도 변할 수밖에 없음
- 어려움과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외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배워야 함
- 정책결정의 규칙성을 발견하게 되면 체계적으로 대외정책을 잘 발전시킬 수 있음
대외정책 연구가 충분히 발전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 정책결정요인 연구 미발달 배경
1) 정책결정 변수의 다양성:
- 순간순간 고려해야 하는 변수가 너무 많아서 정책이 다양함
- 다양한 변수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 어려움
- 항상 일관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실하게 말할 수 없음
2) 상황에 따른 변수의 영향력 변화:
- 각각의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변수도 계속 변화 함
- 때로는 국내 정책이 더 많은 영향, 때로는 국제 환경이 더 많은 영향 등 시기 별로 달라질 수 있음
3) 변수간 연계관계 불분명
- 경우에 따라서 다양한 변수를 파악할 수 있는데 어떨 때는 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움
4) 여러 국가 관여된 정책의 결정 변수 복잡성
- 여러 국가의 변수를 함께 고려하면 변수를 파악하기 어려운 복잡성이 있음
※연구자로서는 특정한 시기 동안 결정요인에 대해 연구하기 쉽지만, 현실에서는 우리가 설명하기 힘든 다양한 변수가 있음
대외정책 결정요인 분석 방법
▶ James Rosenau의 분석 방법
- 대외정책 결정요인을 5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
1) 개인차원 결정요인 (개인의 신념체계 등)
- 정책결정 과정에 있는 개개인이 어떤 가치관과 신념이 있는지, 이런 개인적인 가치관과 신념이 한국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2) 역할 차원 결정요인
- 남북관계를 고려할 때 국방장관이라면 우리나라 안보를 지키기 위해 북한에 대응해야 하는 안보적 차원에서의 대응, 통일부 장관이라면 같은 민족으로서 통일을 이뤄가야 하는 대상이 되는 것
- 그 직책에서 요구되는 역할이 무엇인가에 따라 정책 차원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달라질 수 있음
3) 정부차원 결정요인
- 국가들마다 법과 제도에 따라서 정부와 공공기관의 부문들이 차이들이 있음
- 어떤 국가에서는 의회의 역할이 큰 역할, 어떤 경우에는 행정부에서의 역할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도 있음
- 정부조직 차원에서의 차이들을 중심으로 정책
4) 사회 차원 결정요인
- 일반적으로 국민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된 가치관이 있는가? 이념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지니는가?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성향을 지니는가? 중요한 이슈를 놓고 상대적으로 잘 모아지는 통합성이 높은가? 아니면 갈등하는 성향이 큰가? 등등의 사회차원 문제가 대외 결정요인에 영향을 미침
5) 국제체제 차원 결정요인
- 국제관계, 국제환경, 정책환경에 있어서 어떤 특징이 있느냐가 한 국가의 대외정책 결정 과정에 많은 영향을 미침
- 냉전체제 하에서의 대외정책과 탈냉전체제의 대외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남
대외정책 결정 요인
1) 인적요인:
- 개인적 차원, 역할 차원
2) 국가목표:
- 국가안보, 경제발전, 국가 위신 등
- 특정한 상황 속에서 국가가 어떤 것을 더 고려하여 정책을 결정하는지?
3) 국내/국제적 환경 요소:
- 국내 정치적 요인, 국제환경적 요인
4) 정책결정 과정:
- 정책결정 과정의 구조 및 과정
※ 사안과 시기에 따라 결정요인의 중요성 및 영향력 변화 (복잡성)
- 살펴보아야 할 변수가 너무 많음. 모든 상황을 고려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대외정책 연구가 발달하지 못함
▷ EX) 한미 FTA
- FTA 직후 우리나라한테 불리한 조건으로 인해 국민들이 재협상 요구함
- 한 번 협상에서 결론이 난 것을 또다시 재협상하게 되면 국가의 위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가와의 관계를 고려했을 때 일반적으로 재협상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
- 국제적 협상을 할 때 재협상 요구를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 관행
- BUT, 오바마 행정부 등장 후 오바마 행정부 측에서 오히려 재협상 요구
- 힘의 균형에 있어서 차이가 존재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
'STUDY > INTERNATIONAL POLI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정치경제] 신중상주의 (0) | 2021.04.04 |
---|---|
[한국대외정책론] 한국 대외정책의 역사적 이해 I (0) | 2021.03.30 |
[국제정치경제] 중상주의 (0) | 2021.03.24 |
[한국대외정책론] 개관 (1) | 2021.03.16 |
[국제정치경제] 개관 (1) | 2021.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