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슬몽슬

[한국대외정책론] 대외정책 결정요인의 이해 본문

STUDY/INTERNATIONAL POLITICS

[한국대외정책론] 대외정책 결정요인의 이해

이몽슬 2021. 3. 19. 15:11

2021년 3월 11일 한동대학교 방청록 교수님 "한국대외정책론" 강의 정리


대외정책 결정요인의 이해

▶ 대외정책 결정요인 이해 필요성

- 정책결정의 규칙성 발견, 대외관계 증진, 정책적 조절 가능

- 대외정책은 관계적 성격이 있기 때문에 아무리 정책 변화 없이 일관되게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고 싶어도 국제적 환경이 바뀌거나 상대방 정책이 바뀌면 그에 맞춰 우리나라 정책도 변할 수밖에 없음

- 어려움과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외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배워야 함

- 정책결정의 규칙성을 발견하게 되면 체계적으로 대외정책을 잘 발전시킬 수 있음

 

대외정책 연구가 충분히 발전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정책결정요인 연구 미발달 배경

1) 정책결정 변수의 다양성:

- 순간순간 고려해야 하는 변수가 너무 많아서 정책이 다양함

- 다양한 변수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 어려움

- 항상 일관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실하게 말할 수 없음

2) 상황에 따른 변수의 영향력 변화:

- 각각의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변수도 계속 변화 함

- 때로는 국내 정책이 더 많은 영향, 때로는 국제 환경이 더 많은 영향 등 시기 별로 달라질 수 있음

3) 변수간 연계관계 불분명

- 경우에 따라서 다양한 변수를 파악할 수 있는데 어떨 때는 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움

4) 여러 국가 관여된 정책의 결정 변수 복잡성

- 여러 국가의 변수를 함께 고려하면 변수를 파악하기 어려운 복잡성이 있음

 

※연구자로서는 특정한 시기 동안 결정요인에 대해 연구하기 쉽지만, 현실에서는 우리가 설명하기 힘든 다양한 변수가 있음


대외정책 결정요인 분석 방법

 James Rosenau의 분석 방법

- 대외정책 결정요인을 5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

1) 개인차원 결정요인 (개인의 신념체계 등)

- 정책결정 과정에 있는 개개인이 어떤 가치관과 신념이 있는지, 이런 개인적인 가치관과 신념이 한국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2) 역할 차원 결정요인

- 남북관계를 고려할 때 국방장관이라면 우리나라 안보를 지키기 위해 북한에 대응해야 하는 안보적 차원에서의 대응, 통일부 장관이라면 같은 민족으로서 통일을 이뤄가야 하는 대상이 되는 것

- 그 직책에서 요구되는 역할이 무엇인가에 따라 정책 차원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달라질 수 있음

3) 정부차원 결정요인

- 국가들마다 법과 제도에 따라서 정부와 공공기관의 부문들이 차이들이 있음

- 어떤 국가에서는 의회의 역할이 큰 역할, 어떤 경우에는 행정부에서의 역할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도 있음

- 정부조직 차원에서의 차이들을 중심으로 정책

4) 사회 차원 결정요인

- 일반적으로 국민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된 가치관이 있는가? 이념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지니는가?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성향을 지니는가? 중요한 이슈를 놓고 상대적으로 잘 모아지는 통합성이 높은가? 아니면 갈등하는 성향이 큰가? 등등의 사회차원 문제가 대외 결정요인에 영향을 미침

5) 국제체제 차원 결정요인

- 국제관계, 국제환경, 정책환경에 있어서 어떤 특징이 있느냐가 한 국가의 대외정책 결정 과정에 많은 영향을 미침

- 냉전체제 하에서의 대외정책과 탈냉전체제의 대외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남


대외정책 결정 요인

1) 인적요인:

- 개인적 차원, 역할 차원

2) 국가목표:

- 국가안보, 경제발전, 국가 위신 등

- 특정한 상황 속에서 국가가 어떤 것을 더 고려하여 정책을 결정하는지?

3) 국내/국제적 환경 요소:

- 국내 정치적 요인, 국제환경적 요인

4) 정책결정 과정:

- 정책결정 과정의 구조 및 과정

 

※ 사안과 시기에 따라 결정요인의 중요성 및 영향력 변화 (복잡성)

- 살펴보아야 할 변수가 너무 많음. 모든 상황을 고려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대외정책 연구가 발달하지 못함

 

▷ EX) 한미 FTA

- FTA 직후 우리나라한테 불리한 조건으로 인해 국민들이 재협상 요구함

- 한 번 협상에서 결론이 난 것을 또다시 재협상하게 되면 국가의 위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가와의 관계를 고려했을 때 일반적으로 재협상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

- 국제적 협상을 할 때 재협상 요구를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 관행

- BUT, 오바마 행정부 등장 후 오바마 행정부 측에서 오히려 재협상 요구

- 힘의 균형에 있어서 차이가 존재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