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한국대외정책론
- 자유주의
- 210215
- 강의노트
- 맨큐의경제학
- 210914
- 경제통상정책
- 기사정리
- 노트정리
- 210208
- 210830
- 국제법
- 210901
- 한국의안보정책
- 경제학의10대기본원리
- 국제무역의정치경제
- 국제정치경제주요이슈
- 210924
- 210904
- Cassese
- 국제통화금융의정치경제
- 매일경제
- 210326
- 경제학입문
- 책추천
- 20210611
- 강의정리
- 국제정치경제
- 패권안정론
- 경제학
Archives
- Today
- Total
몽슬몽슬
[210315] 매일경제 (지방교육재정교부금/ 교육예산 증가) 본문
학생 10% 줄었는데 교육예산 41% 급증...이젠 남아돈다
www.mk.co.kr/today-paper/view/2021/4797958/
학생 10% 줄었는데 교육예산 41% 급증...이젠 남아돈다
저출산에 5년새 학생수 10% 감소…예산은 41% 급증 쓸 곳 없어 전국 교육청에 쌓아둔 돈만 4.5조원 달해
www.mk.co.kr
▶ 저출산으로 인해 5년간 초중고 학생 10% 감소,
교육예산은 41조원-> 58조 원, 41.8% 급증
- 재정효율성에 대한 의문
- 지역 시도교육청은 쓰고 남은 예산이 매년 수조 원씩 쌓이고 있음
- 시도교육청의 수입에 비해 지출 적음
- 교육부: "남는 예산 빨리 쓰라"
▷ WHY?
- 초중등 교육예산은 내국세의 20.79%를 배정하도록 법제화돼 있기 때문
▷ 예산 76% 유초중등에 씀
- BUT, 직업·평생교육엔 겨우 1.3% 씀
- 쓰임새가 미리 정해져 있는 교육예산의 구조로 인해 정작 필요한 곳에는 못 씀
- 노후학교 보수 등 '시설 개선' 예산 확대 어려움
- BUT,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은 매년 늘어나서 시도교육청에서 각종 교육복지 사업 늘어남
- 학생 수가 줄고 있는데 교육재정이 늘고 있는 상황에 개선 필요
▷ 1995년 김영삼 정부의 '5.31 교육 개혁'
-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이 내국세의 20%대로 정해짐
- 당시는 학생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교육재정이 감당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위기감 때문
- 당시의 인구, 사회 상황이 완전히 바뀜
▷ 예산이 늘어나는 이유?
- 학급 수, 학교 수, 교원 수 증가
- 학교가 작다고 다 통폐합할 수 없음
- SO, 인건비, 시설비는 고정적으로 나감
*지방교육재정교부금:
- 지방자치단체들 간 교육재정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국가에서 보조해주는 예산
- 교육공무원의 인건비와 시설운영비 등에 주로 사용
- 재원은 내국세의 20% 남짓
*내국세:
- 국내에 있는 과세물건에 대하여 부과하는 조세
- 관세를 제외한 것을 총칭
'DAILY_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326] 매일경제 (한국형 우사발사체/ 누리호/ 국가우주위원회) (0) | 2021.03.26 |
---|---|
[210317] 매일경제 (LH 투기 사건 총정리) (0) | 2021.03.17 |
[210312] 매일경제 (형제복지원/ 박인근 원장/ 비상상고) (1) | 2021.03.12 |
[210307] 매일경제 (중국 경제성장률/ 기술 자립/ 경제협력) (0) | 2021.03.07 |
[210304] 매일경제 (서울대/ 국립대/ 계약학과 신설) (3) | 2021.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