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0210611
- 경제통상정책
- 기사정리
- 한국대외정책론
- 210924
- 매일경제
- 210208
- 경제학입문
- Cassese
- 국제정치경제
- 210326
- 책추천
- 경제학의10대기본원리
- 맨큐의경제학
- 국제정치경제주요이슈
- 210215
- 210904
- 강의정리
- 국제통화금융의정치경제
- 경제학
- 210914
- 국제법
- 210901
- 210830
- 한국의안보정책
- 패권안정론
- 노트정리
- 강의노트
- 국제무역의정치경제
- 자유주의
- Today
- Total
몽슬몽슬
[210224] 매일경제 (게임법/ 확률형 아이템/ RPA/ 블루프리즘) 본문
1) 게임법 국회 검토 시작 … "쟁점 사항은 신중한 검토 필요" 공감
www.mk.co.kr/news/it/view/2021/02/181147/
게임법 국회 검토 시작 … "쟁점 사항은 신중한 검토 필요" 공감
국회가 ‘게임산업진흥에관한법률 전부개정안’의 검토를 본격화했다. 25일 열리는 문화예술법안심사소위에 회부돼 본격적인 찬반 의견이 오고 갈 전망이다. 국회 전문의원과 김승수 의원, 도
www.mk.co.kr
▶ '게임산업진흥에관한법률 전부개정안' 검토 본격화
*회부: 물건이나 사건 따위를 어떤 대상이나 과정으로 돌려보내거나 넘김
▷ 게임법 개정안:
- 등급분류 절차 간소화
- 확률형 아이템 표시 의무화
- 비영리 게임 등급분류면제
- 중소 게임사 자금 지원
- 경미한 내용 수정신고 면제
- 위법 내용의 게임 광고 금지
- 해외 게임사의 국내 대리인 지정 제도
▷ REASON:
- 확률형 아이템은 사행성 요소가 있다고 봄
- SO, 규제하는 법안 만드는 것
*확률형 아이템 (가챠)
- 원하는 아이템을 뽑을 수 있는 티켓을 사서, 티켓을 긁어야 얻는 방식
- 아이템 종류와 성능 모든 게 무작위
*빙고식 확률형 아이템 (컴플리트 가챠)
- 원하는 아이템을 얻기 위해, 아이템 조각을 모아 빙고를 채워 온전한 아이템을 얻는 방식
- 한 번 획득한 조각을 또다시 획득할 수 있어 빙고를 채우기 어려움
- 일본에서는 금지된 컴플리트 가챠
*사행성:
- 우연한 이익을 얻고자 요행을 바라거나 노리는 성질.
- ex) 도박, 경마, 복권 등
▷ 논란
- 같은 아이템이어도 게이머마다 확률이 다르게 적용
- 수백만 원을 써도 원하는 아이템 못 뽑을 수도 있음
- '확률형 아이템 규제' 법안 통과되면 아이템을 얻을 확률이 얼마인지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함
● 게임법 찬성: 확률형 아이템이 게임에 돈을 많이 쓰게 하고 있어서 법안이 필요하다 주장
● 게임법 반대: 각 게임회사의 영업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 과한 규제다 주장
[출처: 뉴닉 stibee.com/api/v1.0/emails/share/Qxpi_5wtS_svaMtFjyazm8cXTeMtiw==]
2) "그냥 두면 놀고 일 못하는 로봇 똑똑하게 해드립니다"
www.mk.co.kr/today-paper/view/2021/4780932/
"그냥 두면 놀고 일 못하는 로봇 똑똑하게 해드립니다"
`RPA 원조` 블루프리즘 韓 진출 UI패스·오토메이션과 3파전 삼성SDS·포스코ICT도 공략 노는 봇 일 시키는 `봇 매니저` 봇 개발·공유하는 `봇 스토어` 단순업무서 지능형 자동화로
www.mk.co.kr
▶ 로봇프로세스자동화 (RPA) 시장의 진화
- 기존 RPA에 AI 기술을 접목한 '인텔리전트 오토메이션 (지능형 자동화)' 시대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
▷ 변화된 점
- 기존 RPA는 단순 반복 업무
- BUT, AI랑 접목되면서 복잡한 업무도 가능
- 사람의 '뇌' 기능을 갖추고 사람과 협업 가능
▷ 영국 RPA 기업 "블루프리즘"
- 2001년 영국에서 설립
- RPA라는 단어를 만들었음
- 로봇 사원을 업계 최초로 도입
- RPA 기업 중 유일한 상장 기업
- '디지털 익스체인지' 구축
*디지털 익스체인지:
- 로봇 소프트웨어를 모아 놓은 온라인 마켓
-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100여 개 IT 기업의 문자인식 (OCR), 텍스트 분석 (TA), 챗봇 등 기능 업로드
*로봇 매니저 (IADA):
- 머신러닝 (기계 학습) 인공지능 (AI) 기술 접목한 로봇 매니저
▷ 전망
- 내년까지 전 세계 대기업 중 90%가 RPA를 도입할 것
'DAILY_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302] 매일경제 (중국 디지털 쇄국/ 게임규제) (0) | 2021.03.02 |
---|---|
[210225] 매일경제 (미국 공급망/ 국제분쟁/ 광명시흥/ 신규택지) (0) | 2021.02.25 |
[210223] 매일경제 (화평법/ 화관법/ 완충저류시설/ 탄소중립/ 수소환원 제철소) (0) | 2021.02.23 |
[210218] 매일경제 (삼성전자 반도체 셧다운/ 텍사스주 오스틴 공장/ 경제단체 통합론) (0) | 2021.02.18 |
[210217] 매일경제 (전월세 가격 신고제/ 임대차신고제 시범실시/ 온라인플랫폼공정화법) (0) | 2021.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