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슬몽슬

[210224] 매일경제 (게임법/ 확률형 아이템/ RPA/ 블루프리즘) 본문

DAILY_NEWS

[210224] 매일경제 (게임법/ 확률형 아이템/ RPA/ 블루프리즘)

이몽슬 2021. 2. 25. 16:44

매일경제 기사 2개 요약 및 용어 정리


1) 게임법 국회 검토 시작 … "쟁점 사항은 신중한 검토 필요" 공감

www.mk.co.kr/news/it/view/2021/02/181147/

 

게임법 국회 검토 시작 … "쟁점 사항은 신중한 검토 필요" 공감

국회가 ‘게임산업진흥에관한법률 전부개정안’의 검토를 본격화했다. 25일 열리는 문화예술법안심사소위에 회부돼 본격적인 찬반 의견이 오고 갈 전망이다. 국회 전문의원과 김승수 의원, 도

www.mk.co.kr

▶ '게임산업진흥에관한법률 전부개정안' 검토 본격화

*회부: 물건이나 사건 따위를 어떤 대상이나 과정으로 돌려보내거나 넘김

 게임법 개정안:

- 등급분류 절차 간소화

- 확률형 아이템 표시 의무화

- 비영리 게임 등급분류면제

- 중소 게임사 자금 지원

- 경미한 내용 수정신고 면제

- 위법 내용의 게임 광고 금지

- 해외 게임사의 국내 대리인 지정 제도

 

 REASON:

- 확률형 아이템은 사행성 요소가 있다고 봄

- SO, 규제하는 법안 만드는 것

 

*확률형 아이템 (가챠)
- 원하는 아이템을 뽑을 수 있는 티켓을 사서, 티켓을 긁어야 얻는 방식
- 아이템 종류와 성능 모든 게 무작위

*빙고식 확률형 아이템 (컴플리트 가챠)
- 원하는 아이템을 얻기 위해, 아이템 조각을 모아 빙고를 채워 온전한 아이템을 얻는 방식
- 한 번 획득한 조각을 또다시 획득할 수 있어 빙고를 채우기 어려움
- 일본에서는 금지된 컴플리트 가챠

*사행성:
- 우연한 이익을 얻고자 요행을 바라거나 노리는 성질.
- ex) 도박, 경마, 복권 등

 

▷ 논란

- 같은 아이템이어도 게이머마다 확률이 다르게 적용

- 수백만 원을 써도 원하는 아이템 못 뽑을 수도 있음

- '확률형 아이템 규제' 법안 통과되면 아이템을 얻을 확률이 얼마인지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함

 

게임법 찬성: 확률형 아이템이 게임에 돈을 많이 쓰게 하고 있어서 법안이 필요하다 주장

게임법 반대: 각 게임회사의 영업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 과한 규제다 주장

 

[출처: 뉴닉 stibee.com/api/v1.0/emails/share/Qxpi_5wtS_svaMtFjyazm8cXTeMtiw==]

 

 


2) "그냥 두면 놀고 일 못하는 로봇 똑똑하게 해드립니다"

www.mk.co.kr/today-paper/view/2021/4780932/

 

"그냥 두면 놀고 일 못하는 로봇 똑똑하게 해드립니다"

`RPA 원조` 블루프리즘 韓 진출 UI패스·오토메이션과 3파전 삼성SDS·포스코ICT도 공략 노는 봇 일 시키는 `봇 매니저` 봇 개발·공유하는 `봇 스토어` 단순업무서 지능형 자동화로

www.mk.co.kr

▶ 로봇프로세스자동화 (RPA) 시장의 진화

- 기존 RPA에 AI 기술을 접목한 '인텔리전트 오토메이션 (지능형 자동화)' 시대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

▷ 변화된 점

- 기존 RPA는 단순 반복 업무

- BUT, AI랑 접목되면서 복잡한 업무도 가능

- 사람의 '뇌' 기능을 갖추고 사람과 협업 가능

 

▷ 영국 RPA 기업 "블루프리즘"

- 2001년 영국에서 설립

- RPA라는 단어를 만들었음

- 로봇 사원을 업계 최초로 도입

- RPA 기업 중 유일한 상장 기업

- '디지털 익스체인지' 구축

 

*디지털 익스체인지:
- 로봇 소프트웨어를 모아 놓은 온라인 마켓
-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100여 개 IT 기업의 문자인식 (OCR), 텍스트 분석 (TA), 챗봇 등 기능 업로드

*로봇 매니저 (IADA):
- 머신러닝 (기계 학습) 인공지능 (AI) 기술 접목한 로봇 매니저

 

▷ 전망

- 내년까지 전 세계 대기업 중 90%가 RPA를 도입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