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국제법
- 경제학
- 국제통화금융의정치경제
- 경제학입문
- 맨큐의경제학
- 경제통상정책
- 210924
- 210215
- 강의노트
- 매일경제
- 패권안정론
- Cassese
- 강의정리
- 210914
- 한국의안보정책
- 210901
- 210208
- 20210611
- 책추천
- 210904
- 210830
- 한국대외정책론
- 국제무역의정치경제
- 경제학의10대기본원리
- 기사정리
- 자유주의
- 국제정치경제주요이슈
- 노트정리
- 국제정치경제
- 210326
- Today
- Total
몽슬몽슬
[210216] 매일경제 (SK 바이오사이언스/ 노바백스 백신/ 퇴직연금 시장 개혁) 본문
1) SK바이오사이언스, 노바백스 백신 기술이전 받아 국내 공급키로
www.mk.co.kr/news/it/view/2021/02/151623/
SK바이오사이언스, 노바백스 백신 기술이전 받아 국내 공급키로
SK바이오사이언스는 미국과 유럽 등에서 사용 승인을 앞둔 노바백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NVX-CoV2373`을 독자적으로 생산해 국내에 공급하기 위한 기술 이전 계약을 16일
www.mk.co.kr
▶ SK바이오사이언스는 노바백스의 코로나19 백신 'NVX-CoV2373'을 독자적으로 생산해 국내에 공급하기 위한 기술 이전 계약 맺음
- 질병청과 백신 공급 계약 체결
▷ NVX-CoV2373 백신 기술을 이전 받아 국내에서 독점적으로 생산 및 허가, 판매하는 권리 보유
- 생산된 물량 중 2000만명분 백신을 국내에 공급하게 됨
▷ 지난해 8월 노바백스와 CDMO 계약 체결 후 백신의 원액 제조 및 공정 기술을 이전받아 글로벌 공급을 위한 상업생산 진행
- 이번 계약을 통해 국내 공급물량 즉시 생산에 돌입
*CDMO:
- 항체 바이오 의약품 위탁생산(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과 위탁개발(CDO·Contract Development Organization)을 함께 일컫는 말.
- 세포주를 받아서 생산하면 CMO, DNA로 받아서 세포주를 만든 후 생산까지 하면 CDO.
[출처: 매일경제 경제용어사전]
▷ WHAT IS "NVX-CoV2373"?
- 노바백스가 개발한 합성항원 방식의 코로나19 백신
- 영국에서 18~84세 성인 1만 5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 3상 시험에서 평균 89.3%의 예방 효과 나타남
- 변이가 발생하지 않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95.6%로 가장 효과가 높음
*합성항원 Synthetic Antigen
- 인공적으로 합성한 구조가 분명한 화학기를 단백질 등의 담체와 결합하여 만든 물질로 생체에 주사한 경우에 그 화학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항원
- 높은 효과 및 유통 편의성으로 저개발국에서도 활용 가능
- 2~8도의 냉장 조건에서 보관이 가능 (<-> mRNA 백신은 영하 20~70도의 초저온에서 관리됨)
- 기존 백신 물류망 활용해 유통 가능
- 접종 단계에서 해동 등의 과정 불필요
[출처: 생명과학대사전]
2) 미국은 퇴직연금 세금 감면 늘리는데…한국은 7년째 발 묶여
www.mk.co.kr/today-paper/view/2021/4773558/
미국은 퇴직연금 세금감면 늘리는데…한국은 7년째 발 묶여
지지부진한 수익률…국내 퇴직연금 개혁하려면 美 6.5조弗규모 401K퇴직연금 근로자 납입액 1만9500弗 공제 한국은 7년째 공제한도 발묶여 美 15년前 `디폴트옵션` 도입 연금 방치땐 적극운용 유도
www.mk.co.kr
▶ 국내 퇴직연금 수익률 연 1~2%, 지지부진한 수익률
*퇴직 연금:
- 사용자가 근로자의 퇴직금을 외부 금융 기관에 적립하고, 이를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운용하여 근로자의 퇴직 시 일시금/연금 형태로 지급하는 돈
▶ 국내 퇴직연금 시장 개혁을 위한 방안:
1) 확정급여형(DB형) 퇴직연금을 확정기여형(DC형)으로 바꿔야 함
- 국내: DB형 비중은 60%, DC형 & 개인형 퇴직연금 비중은 40% 아래
- DC형 가입자 중 상당수가 연금계좌를 방치하고 있음
- '연금을 스스로 운용한다'는 개념이 아직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
*확정급여형 DB; Defined Benefit:
- 회사 책임형
- 회사가 근로자의 퇴직연금 재원을 외부 금융회사에 적립하여 운용, 근로자 퇴직 시 정해진 금액을 지급하도록 하는 제도
- 안정적인 편이지만 수익률이 높지는 않음
*확정기여형 DC; Defined Contribution:
- 근로자 책임형
- 회사가 매년 연간 임금총액의 일정 비율 (1/12 이상)을 적립하고, 근로자가 적립금을 운용하는 방식
- 근로자 개별 계좌이기 때문에 직접 적립금을 운용할 수 있음
- 불안정적이지만 잘만 한다면 매년 복리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
*상장지수펀드 ETF; Exchange-traded fund:
- 특정 자산을 추종하도록 설계된 펀드
- 개별 주식처럼 매매가 편리, 인덱스펀드처럼 거래비용 낮음
- 실시간 가격으로 매매 가격이 결정됨
- 상품 구성이 다향해 투자자들의 선택 범위가 넓음
*개인형 퇴직연금 IRP;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 퇴직한 근로자가 퇴직 시 수령한 퇴직급여를 운용하거나 재직 중인 근로자가 DB/DC 외 자신의 비용 부담으로 추가로 적립하여 운용하다가 연금/ 일시금으로 수령할 수 있는 계좌
- 연간 1800만 원까지 가입 가능, 최대 700만 원 세액공제
[출처: 지식백과- 대학생을 위한 실용 금융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58438&docId=3431726&categoryId=58438&expCategoryId=58438 ]
2) 세제 혜택을 늘려야 함
한국
- 7년째 개인연금과 합쳐 700만 원 세액공제 혜택
- DC형 & IRP 계좌에 대한 가입자 추가 납입금 & 개인연금저축 불입액= 연간 700만원 세액공제 혜택이 전부
- 세액공제 한도까지만 납부하는 기류가 자리 잡고 있음
vs
미국
- 401K 퇴직연금은 근로자 납입액 중 1년에 1만 9500달러까지 기본공제
- 소득세 부담 적음
- 소득공제 한도는 매년 꾸준히 상향되고 있음 (2020~2021년 1만 9500달러)
3) '디폴트 옵션' 도입이 필요함
- 가입자들이 연금을 방치할 경우 사전에 지정한 방식대로 사업자가 운용을 해주는 방식
- Ex) 미국 노동부는 연금보호법 (PPA)을 통해 401K에 디폴트 옵션 도입
- Ex2) 호주's 퇴직연금 슈퍼애뉴에이션에 디폴트 옵션인 마이 슈퍼 (MySuper) 도입
- 디폴트 옵션 항목 중 타깃데이트펀드 (TDF) 비중이 가장 큼
- 미국: 2016~2018년 401K 수익률은 연 5.9%
- 호주: 2018년 6월 기준 1년 수익률 7.1%; 10년 수익률 7.9%
*타깃데이트펀드 TDF; Target Date Fund:
- 생애주기에 따라 주식, 채권 투자 비율을 알아서 조정해주는 것
- 투자 시 미리 정한 타깃데이트(Target Date, 주로 은퇴)가 가까워질수록 투자 포트폴리오의 자산배분이 보다 보수적으로 결정되도록 구성해 놓은 집합투자상품이다.
[출처: KDI 경제정보센터]
4) 퇴직연금을 운용해 국내 주식시장의 버팀목으로 사용
- 미국: 401K 상당수가 미국 주식형 펀드에 투자됨
- 미국 퇴직연금 DC형 자산 중 43.1%가 미국 주식에 투자되고 있음
- 호주: 퇴직연금 자산 중 95%가 DC형;
- 이 중 22%가 펀드 형태로 호주 기업에 투자되고 있음
'DAILY_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218] 매일경제 (삼성전자 반도체 셧다운/ 텍사스주 오스틴 공장/ 경제단체 통합론) (1) | 2021.02.18 |
---|---|
[210217] 매일경제 (전월세 가격 신고제/ 임대차신고제 시범실시/ 온라인플랫폼공정화법) (1) | 2021.02.17 |
[210215] 매일경제 (쿠팡/ 미국 뉴욕증시 상장/ 40년 주택담보대출) (0) | 2021.02.15 |
[210214] 매일경제 (한전 R&D/ 금융허브/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0) | 2021.02.15 |
[210213] 매일경제 (삼성전자 M&A/ 한미 첫 통화/ 한일관계 회복 강조) (0) | 2021.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