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자유주의
- 국제무역의정치경제
- 기사정리
- 매일경제
- 경제학
- 노트정리
- 경제통상정책
- 210904
- 210901
- 경제학의10대기본원리
- 강의정리
- 패권안정론
- 한국대외정책론
- 210215
- 국제정치경제
- 책추천
- 강의노트
- 국제정치경제주요이슈
- 210830
- 210914
- 20210611
- 210924
- 맨큐의경제학
- Cassese
- 210208
- 경제학입문
- 한국의안보정책
- 210326
- 국제법
- 국제통화금융의정치경제
Archives
- Today
- Total
몽슬몽슬
[맨큐의 경제학] 제 1장_경제학의 10대 원리/서론 본문
●경제 Economy = '집 안 살림하는 사람'- 'oiko nomos' 라는 그리스어에서 유래.
- 가정 살림살이와 경제에는 공통점이 많음
- 가정에서 많은 결정을 내려야 한다. 가령 누가 저녁을 차려야 할지, 빨래를 해야 할지 등. 식구 중 누가 어떤 일을 해야 하고 또 그 대가로 무엇을 받아야 하는지 결정해야 함.
'가계'= 구성원의 능력, 노력, 희망에 따라 제한된 자원 (희소성)을 식구들에게 나눠줘야 함
'사회'= 사람들을 여러 가지 일에 종사하도록 한 뒤에는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를 배분해야 함
- 매 순간 결정, 선택에 직면!
THUS, 선택의 문제에 직면해 있는 가장 큰 문제는 '자원이 희소'하기 때문.
*희소성 Scarcity: 한 사회가 가지고 있는 자원의 유한성
- 희소성 때문에 사람들이 갖고 싶은 것을 다 가질 수 없다.
- 가정이나 사회 속에서 모든 구성원이 원하는 생활수준을 누구에게나 다 보장할 수 없게 되는 문제.
- 희소성 때문에 매일 '선택'이라는 문제에 직면.
●경제학이란?
*경제학 Economics: 한 사회가 희소자원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연구하는 학문
- 무수히 많은 경제 주체들의 행위에 따라 이러한 선택에 따라 배분된다.
- 경제 주체 즉, 가계[소비자] & 기업[생산자]이 [시장]에 모여서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가를 다루는 학문
- '사람들이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가'를 연구하는 학문-> 사람들의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 ||
I. 사람들은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가 | II. 사람들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 III. 나라 경제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
1.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있다 | 5. 자유거래는 모든 사람을 이롭게 한다 | 8. 한 나라의 생활수준은 그 나라의 생산 능력에 달려 있다 |
2. 선택의 대가는 그것을 얻기 위해 포기한 그 무엇이다 | 6. 일반적으로 시장이 경제활동을 조직하는 좋은 수단이다 | 9. 통화량이 지나치게 증가하면 물가는 상승한다 |
3. 합리적 판단은 한계적으로 이루어진다 | 7. 경우에 따라 정부가 시장 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 | 10.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과 실업 사이에 상충관계가 있다. |
4. 사람들은 경제적 유인에 반응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