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슬몽슬

[맨큐의 경제학] 제 1장_경제학의 10대 원리/서론 본문

STUDY/ECONOMICS

[맨큐의 경제학] 제 1장_경제학의 10대 원리/서론

이몽슬 2021. 2. 2. 15:53

책은 맨큐의 경제학 제6판, 강의는 유튜브 <경제학짱박사> 채널 참고


 

youtu.be/pyLsYSNkL20

 

●경제 Economy = '집 안 살림하는 사람'- 'oiko nomos' 라는 그리스어에서 유래. 

- 가정 살림살이경제에는 공통점이 많음

- 가정에서 많은 결정을 내려야 한다. 가령 누가 저녁을 차려야 할지, 빨래를 해야 할지 등. 식구 중 누가 어떤 일을 해야 하고 또 그 대가로 무엇을 받아야 하는지 결정해야 함. 

 

'가계'= 구성원의 능력, 노력, 희망에 따라 제한된 자원 (희소성)을 식구들에게 나눠줘야 함

'사회'= 사람들을 여러 가지 일에 종사하도록 한 뒤에는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를 배분해야 함

- 매 순간 결정, 선택에 직면!

 

 

THUS, 선택의 문제에 직면해 있는 가장 큰 문제는 '자원이 희소'하기 때문. 

*희소성 Scarcity: 한 사회가 가지고 있는 자원의 유한성 

- 희소성 때문에 사람들이 갖고 싶은 것을 다 가질 수 없다. 

- 가정이나 사회 속에서 모든 구성원이 원하는 생활수준을 누구에게나 다 보장할 수 없게 되는 문제.

- 희소성 때문에 매일 '선택'이라는 문제에 직면.

 

●경제학이란?

*경제학 Economics: 한 사회희소자원어떻게 관리하는지 연구하는 학문

- 무수히 많은 경제 주체들의 행위에 따라 이러한 선택에 따라 배분된다. 

- 경제 주체 즉, 가계[소비자] & 기업[생산자]이 [시장]에 모여서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가를 다루는 학문

- '사람들이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가'를 연구하는 학문-> 사람들의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I. 사람들은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가 II. 사람들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III. 나라 경제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1.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있다 5. 자유거래는 모든 사람을 이롭게 한다 8. 한 나라의 생활수준은 그 나라의 생산 능력에 달려 있다
2. 선택의 대가는 그것을 얻기 위해 포기한 그 무엇이다 6. 일반적으로 시장이 경제활동을 조직하는 좋은 수단이다 9. 통화량이 지나치게 증가하면 물가는 상승한다
3. 합리적 판단은 한계적으로 이루어진다 7. 경우에 따라 정부가 시장 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 10.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과 실업 사이에 상충관계가 있다. 
4. 사람들은 경제적 유인에 반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