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매일경제
- 210326
- 20210611
- 국제정치경제주요이슈
- 국제정치경제
- 210924
- 210208
- 강의정리
- 한국의안보정책
- 경제학
- 210901
- 강의노트
- 210215
- 패권안정론
- 국제무역의정치경제
- 한국대외정책론
- 국제통화금융의정치경제
- Cassese
- 자유주의
- 210914
- 국제법
- 경제학의10대기본원리
- 210830
- 경제통상정책
- 기사정리
- 책추천
- 경제학입문
- 맨큐의경제학
- 210904
- 노트정리
- Today
- Total
몽슬몽슬
[220728] 매일경제 (K방산/ 폴란드 수출/ 기대인플레이션/ 러시아 ISS 탈퇴) 본문
진격의 K방산…폴란드에 19조 수출
https://www.mk.co.kr/today-paper/view/2022/5229018/
진격의 K방산…폴란드에 19조 수출
우크라전쟁 인접국 폴란드와 韓기업들 역대최대 계약 현대로템 전차·KAI 공격기 한화디펜스 자주포 도입
www.mk.co.kr
▶ 한국 방위산업 기업의 무기 수출
- 폴란드와 역대 최대 규모 수출 계약에 성공
- 총계약액은 19조원 이상이 될 전망
- 기존 방산 관련 최대 수출 기록은 랍에미리트(UAE)와의 4조원대 지대공 유도미사일 천궁II계약
- 폴란드 정부는 한국산 무기체계 도입을 위한 기본계약(Framework Agreement)을 체결
*Framework Agreement: 본계약 전 단계로 사실상 수주 계약에 해당
▶도입하는 무기들
- 현대로템의 K2흑표전차
- 한화디펜스의 K9 자주포
- KAI의 FA-50 경공격기
▶ WHY?
- 마리우시 브와슈차크 폴란드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 "우크라이나 지원으로 인해 지상·공중 전력의 공백을 채워야 했는데 기술과 가격, 도입 시기 등을 고려했을 때 한국 무기체계가 가장 적합했다. K9 자주포의 경우 기술을 인정받고 있어 빠른 도입이 결정됐다"
- 국내 방산 기업들= 가성비&신속한 후속 지원
"물가 더 오를 것" 기대인플레 사상 최고
https://www.mk.co.kr/today-paper/view/2022/5228918/
"물가 더 오를것" 기대인플레 사상최고
7월 4.7%…한달새 0.8%P 껑충
www.mk.co.kr
▶ 기대 인플레이션율 사상 최고치 기록
-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 여파로 고물가 압박이 심해짐
-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6%대까지 물가 오름
- 7월 소비자동향 조사에 따르면 기대인프레이션율은 전월 대비 0.8% 포인트 오른 4.7% 기록
- 하반기에도 물가가 낮아지지 않을 것이라 판단
*기대인플레이션: 사람들이 예상하고 있는 미래의 인플레이션
- 물가상승률에 대한 경제주체의 주관적 전망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물가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
- 소비자로서 시장에서 구입하는 재화(goods)와 용역(services)의 평균 가격을 계산해 측정한 물가
-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많이 구입하는 제품들을 선정해서 가격 변화를 지수로 만든 값
- 통계청에서 매월 소비자물가지수 계산
러, 美와 우주협력 마침표…"국제우주정거장 탈퇴" 재확인
https://www.mk.co.kr/today-paper/view/2022/5228845/
러, 美와 우주협력 마침표…"국제우주정거장 탈퇴" 재확인
일각 "서방제재 완화 노림수"
www.mk.co.kr
▶러시아 국제 우주 정거장 프로젝트 탈퇴
- 2024년 이후 국제우주정거장(ISS) 프로젝트에서 완전히 탈퇴할 것
- 2000년부터 지속된 미 항공우주국(NASA)과의 협력은 종료될 것이라 전망
- 러시아 자체 우주 정거장 구축 목표
- 이유는 ISS의 노후화
▶NASA의 입장은?
- 2030년 말까지 ISS를 계속 운영한다는 입장
- 러시아의 ISS탈퇴 결정에 대해 공식적인 소식받은 적 없다며 당황
▶WHY?
- 서방의 제재를 허물기 위한 의도일 수도 있음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유럽연합은 러시아의 우주산업 분야에 대한 제재 결정
- SO, 러시아의 우주산업 제재를 풀어야 ISS운영 연장과 관련한 협상이 가능하다는 입장
- BUT, 러시아는 탈퇴 시점을 2024년 이후라고 하며 모호하게 규정함
'DAILY_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727] 매일경제 (UAM/ 용산/ 아시아 실리콘밸리/ 전자주총) (0) | 2022.07.27 |
---|---|
[210910] 매일경제 (국힘 홍준표 1위/ 금융 플랫폼 규제/ 애플카/ 중국 게임업체 규제/ 백신 부작용 환자 지원) (0) | 2021.09.10 |
[210909] 매일경제 (중대재해법/ 건설업 타격/ 해외수주 축소) (1) | 2021.09.09 |
[210906] 매일경제 (탄소중립정책/ 2050탄소중립/ 2030탄소중립) (1) | 2021.09.06 |
[210904] 매일경제 (LH/ 캠코더/ 보은인사/ 인사 낙하산) (1) | 2021.09.04 |